-
그리스 로마 신화 헤르메스카테고리 없음 2024. 4. 8. 15:57반응형
오늘은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올림포스 12 신 중에 막내로 여겨지는 헤르메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헤르메스는 그리스 신화와 로마 신화에서 매우 중요한 신으로 여겨지는 신입니다. 그리스 신화에서는 헤르메스(Hermes), 로마신화에서는 메르크리우스(Mercury)로 불려지고 있습니다. 헤르메스는 전령의 신 혹은 메신저의 신으로 알려져 있지만, 농업, 상업, 여행, 운송, 경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리스 로마 신화 헤르메스
1. 헤르메스의 가족 관계
헤르메스의 아버지는 제우스와 마이아(Maia)입니다. 마이아는 아틀라스와 플레이오네의 딸입니다. 헤르메스는 아름다운 숲 속에서 태어났으며, 어머니인 마이아는 그를 지키기 위해 숨기면서 출산하였습니다. 그는 출생 후 발음이 아주 좋은 천재로 소문이 났고, 천부적으로 동물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출생 직후 바로 출세를 위해 여러 가지 모험의 길을 떠나게 됩니다. 신의 세계와 인간 세계, 지하 세계를 다녔으며, 드리옵스 사이에서 판을 낳고,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헤르마프로디토스를 낳았습니다. 지혜와 속임수에 능한 오디세우스가 그의 자손이기도 합니다.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유명한 전령의 신으로, 신들 간의 의사소통을 담당하여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는 능력을 보였습니다. 대표적인 특징으로는 뱀 두 마리가 엉킨 지팡이를 들고, 날개 달린 챙이 달린 모자를 쓰고, 날개 달린 샌들을 신고, 마법의 망토를 두른 청년으로 나타납니다. 헤르메스의 모자에는 휴대품이 담겨 있어서 여행과 메시지 전달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신들이나 인간들 사이에서 소식이나 소통하며, 여행을 도와주는 역할을 잘 수행하였습니다. 제우스의 명령을 전달하는 사자로 명부의 통행이 자유롭기 때문에 죽은 자를 저승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2. 헤르메스와 관련된 신화
헤르메스는 그가 가진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모험을 하였습니다. 가장 알려진 이야기 중 하나는 헤르메스가 아르고로 불리는 전설적인 목축꾼을 죽인 이야기입니다. 아르고는 양치기와 헤르메스 사이에서 갈등이 있었고, 헤르메스는 어쩔 수 없이 아르고를 죽이고 양 떼를 훔쳐서 숨겨야 했습니다. 또 다른 유명한 신화로는 헤르메스가 아테나와 경주를 벌인 이야기입니다. 오르피우스가 주관하여 개최한 이 경주에서 헤르메스는 리라의 숲에서 올리브 나무를 찾아 아테나에게 바치면서 우승하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지하 세계의 여왕인 페르세포네를 구출하는 데에도 큰 공헌을 하였습니다. 헤라의 명령에 따라 아이디를 지하 세계에서 되돌아오게 하는 일을 성공하였습니다.
헤르메스는 전령의 신 역할 외에도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인과 도둑들의 보호자라고도 유명하며, 길을 잃은 여행자들에게도 안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고, 무역과 경매의 신이라는 특징도 가지고 있습니다.
새벽에 출생하자마자 엄마 몰래 빠져나와 아폴론의 소 50마리를 훔쳤습니다. 소의 발자국을 남기지 않기 위해 소 발굽을 나무껍질로 싸서 소리가 나지 않게 하였고, 소 꼬리엔 빗자루를 매달아 소가 앞으로 걸어가면 자연스럽게 흔적이 지워지도록 하였습니다. 소의 창자와 등껍질을 이용해 리라를 발명하여 연주하였고, 리라를 아폴론에게 선물하여 아폴론의 질책을 비껴갈 수 있었습니다. 아폴론은 음악과 예술의 신이기 때문에 용서해 주면서 오히려 뱀 지팡이 카두케우스를 헤르메스에게 선물로 주었습니다.
헤르메스는 갓 태어난 아레스인 흉내를 내며 헤라의 젖을 먹었고, 이로 인해 헤라는 헤르메스에게 정이 들어 귀여워했었습니다. 헤르메스의 뛰어난 계략 때문에 어머니인 마이아와 함께 올림포스에서 살게 되었습니다.
헤르메스는 꾀가 많고 말재주가 좋은 신으로 판도라에게 준 선물도 말재주와 거짓말 능력이었습니다. 제우스의 전령사가 될 때에는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고 맹세하기도 하였습니다. 매우 지겹고 따분한 이야기를 통해 카두케우스를 이용하여 졸음 마법을 부려 아르고스를 재워서 그를 죽이고 이오를 구한 그리스 신화가 매우 유명합니다.
알파벳과 숫자 천문학과 도량형, 연금술을 발명한 신이라고도 합니다. 신의 세계와 인간 세계, 일자의 세계와 다자의 세계 등 서로 다른 두 세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다 보니 경계의 신이라고도 불립니다. 성적으로는 문란하여 헤파이토스의 아내인 아프로디테와 동침하여 자웅동체인 헤르마프로디토스가 태어났다고도 합니다. 아테네 공주 헤르세와의 사이에서 케팔로스가 태어났고, 키오네와의 사이에서는 아우톨리코스가 태어났으며, 크레타의 공주 아카칼리스에게서 키돈이라는 아들을 낳았습니다.
헤르메스가 출생하였다고 여겨지는 큐레네 산에서 남근의 신으로 숭배되고 있습니다. 한국과도 연관되어 이솝 우화에서 우리나라로 전해진 금도끼 은도끼 동화에서 나오는 산신령이 바로 헤르메스입니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헤르메스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 중요한 신으로, 전령의 신으로의 역할을 초과하여 다양한 부분에서 활약한 신입니다. 그의 용감하고 재빠르며, 다양한 재능은 많은 흥미로운 신화를 만들어 내었으며, 신들과 인간들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반응형